🧠 이런 분들에게 이 글을 추천해요
- 실기시험에서 “WPS와 PQR의 차이”에 자주 틀리는 분
- MTC, RT Report 같은 문서를 이름만 외우고 기능은 모르는 분
- 실무에서 품질문서를 접했지만 용도나 법적 성격이 헷갈리는 분
🔍 주요 품질 관련 문서 6가지 + 해설
❶ MTC (Mill Test Certificate) – 재료 성적서
- 목적: 재료(Plate, Pipe 등)의 화학 성분·기계적 성질 증명
- 발급 주체: 제조사 (예: POSCO, HYUNDAI Steel 등)
- 포함 내용:
- 열번호(Heat No.)
- 재질명/규격
- 화학성분
- 인장/항복강도, 연신율 등
- 실무 Tip: 모든 품질 서류의 시작점이 되는 문서입니다.
❷ WPS (Welding Procedure Specification) – 용접 절차서
- 목적: 특정 용접 조건과 공정에 대해 표준화된 지침 제시
- 작성 주체: 제작사 또는 인증된 엔지니어
- 주요 항목:
- 전류, 전압, 용접자세
- 예열·후열 조건
- 전극 종류, 패스 수, 루트 간격 등
- 실기 문제 포인트: "설계에 근거해 작업자가 따라야 할 문서" → WPS
❸ PQR (Procedure Qualification Record) – 절차 검증 기록서
- 목적: 실제 시편을 용접해 보고, WPS의 적합성 검증
- 포함 내용:
- 용접 시 사용한 실제 조건
- 파괴/비파괴 시험 결과
- 시험성적서 첨부
- ✅ WPS와 PQR의 차이!
-
WPSPQR
사전 지침서 |
실제 성능 기록서 |
작업자가 따름 |
공정 자체의 시험 |
❹ WPQ (Welder Performance Qualification) – 용접사 자격시험
- 목적: 특정 WPS 조건에서 용접사가 적절히 용접할 수 있는지 확인
- 포함 내용:
- 용접사 이름
- 자격 범위(자세, 두께, 전류 등)
- 시험방법 및 결과
- 자주 묻는 질문:
- "WPS는 공정 자격, WPQ는 사람 자격입니다."
❺ RT Report / UT Report – 비파괴검사 성적서
- 목적: 완제품 용접부에 대해 비파괴검사 결과를 기록
- 포함 내용:
- 검사 일자, 검사자, 장비
- 필름번호 / 결함 위치 / 판정
- 실무 활용: 고객에게 제출되는 공식 합격 증빙 문서
❻ NDT Summary / Quality Dossier
- 목적: 프로젝트별 품질기록을 한곳에 모아 정리
- 구성 예시:
- 재료 MTC
- WPS / PQR / WPQ
- 검사 성적서 (RT, PT, VT 등)
- 최종 검사 증명서
✍️ 실기 시험 대비 핵심 요약표
문서 명칭작성 주체목적주요 내용 키워드
MTC |
재료 제조사 |
재료 성분·강도 확인 |
열번호, 성분, 인장강도 등 |
WPS |
제작사/엔지니어 |
작업 지침서 |
전류, 전극, 자세, 패스 등 |
PQR |
제작사 |
공정 검증 |
실제 시험 + 결과 기록 |
WPQ |
용접사 + 시험자 |
사람 자격 증명 |
시험결과, 자격 범위 등 |
RT/UT Report |
검사자 |
비파괴 결과 기록 |
결함 위치, 판독, 합불 |
NDT Summary |
QC팀/총괄 |
프로젝트 기록 |
모든 문서 종합 정리 |
📘 다음 글 예고
21편에서는 스테인리스강 용접 시 주의사항 – 열변색, Cr 손실, 후처리 등을 정리합니다.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스텐 용접 후 변색 원인과 대응’까지 다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