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사 오답노트] 2025 대비 – 용접 결함과 검사 기준 정리 (8편)
🧠 오늘의 학습 목표
- 용접 결함의 종류와 발생 원인을 이해한다.
- 각 결함의 외관 특징과 위험성을 파악한다.
- **비파괴검사(NDT)**와 연계된 검사 기준을 익힌다.
🔍 문제 1
다음 중 표면 결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요?
① 언더컷 (Undercut)
② 오버랩 (Overlap)
③ 슬래그 혼입 (Slag Inclusion)
④ 크랙 (Crack)
✅ 정답: ③
📝 해설:
슬래그 혼입은 용접부 내부에 생기는 결함으로, 겉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반면, 언더컷, 오버랩, 크랙은 육안 검사(VT) 또는 **표면 검사(PT, MT)**로 확인할 수 있는 표면 결함입니다.
📌 검사 방법 요약
표면 결함 | VT, PT, MT |
내부 결함 | RT, UT |
🔍 문제 2
용접부에 발생하는 ‘기공(Porosity)’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냉각 속도가 너무 빠를 때
② 과도한 전류 사용
③ 용접 중 가스가 금속에 포획될 때
④ 전극 직경을 잘못 선택했을 때
✅ 정답: ③
📝 해설:
기공은 용접 중 발생한 수소, 산소 등의 가스가 금속 내부에 갇혀 생긴 공 모양의 결함입니다.
건조 부족, 기름기나 수분 제거 미흡, 전류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문제 3
언더컷(Undercu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모재 가장자리에 홈이나 파임이 생긴다
②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결함이다
③ 외관상 비드가 커 보이며 용접 강도를 높여준다
④ 고전류 및 빠른 이송속도에서 자주 발생한다
✅ 정답: ③
📝 해설:
③은 틀린 설명입니다. 언더컷은 용접부 끝부분이 깎여나간 상태로,
강도를 오히려 낮추고 응력 집중 → 균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결함입니다.
🛠️ 실무 팁:
언더컷의 깊이가 0.5mm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규격에서 불합격 처리됩니다.
🧪 주요 결함 요약
언더컷 | 모재 가장자리에 홈 발생 | VT, PT |
오버랩 | 비드가 모재 위로 흘러붙은 상태 | VT |
기공 | 내부에 갇힌 기체로 인한 공기방울 | RT, UT |
슬래그 혼입 | 슬래그가 용착금속 내부에 남음 | RT, UT |
크랙 | 표면 또는 내부에 생긴 균열 | PT, RT, UT |
용입 부족 | 용접금속이 모재에 제대로 침투 안 됨 | RT, UT |
📘 다음 글 예고
**9편에서는 비파괴검사 4대 기법(VT, PT, MT, UT)**의 원리와 차이점을 다룰 예정입니다.
각 기법이 어떤 결함을 탐지하는지,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포인트 중심으로 정리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