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접기사 오답노트] 2025 대비 – 용접 이음 형식 및 각부 명칭 정리 (24편)

용접/용접기사

by 희흔용이네 2025. 7. 4. 08:35

본문

반응형

🧠 이런 분들에게 이 글을 추천해요

  • “겹치기랑 모서리이음이 뭐가 다르지?” 하고 헷갈리는 분
  • 실기 도면 해석할 때 이음 형식이나 용접부 명칭이 기억 안 나는 분
  • 시험에서 자주 틀리는 “루트, 얼굴비드, 덮음비드” 문제 정리하고 싶은 분

🔍 대표적인 용접 이음 형식 5가지


❶ 맞대기이음 (Butt Joint)

  • 형태: 두 부재를 같은 평면에서 끝단끼리 맞댐
  • 특징: 가장 일반적, 용입 깊이 확보 중요
  • 적용: 압력용기, 배관, 판재 용접 등

❷ 겹치기이음 (Lap Joint)

  • 형태: 한쪽 부재를 다른 쪽 위에 겹쳐서 용접
  • 특징: 두께 차이가 있는 재료에 유리, 양면 필렛 용접 활용 가능
  • 적용: 박판, 보강판, 자동차 부품 등

❸ 모서리이음 (Corner Joint)

  • 형태: 두 부재의 모서리(90도)에서 만나는 구조
  • 특징: 구조물 외각 프레임, 박스 제작 시 주로 사용
  • 시험 포인트: “두 부재 외곽이 만나는 이음” = Corner Joint

❹ T이음 (Tee Joint)

  • 형태: 두 부재가 수직으로 교차해 T자 형상 형성
  • 특징: 구조적 강도 필요 부위, 필렛 용접 주로 적용

❺ 엇걸이이음 (Edge Joint)

  • 형태: 두 부재의 모서리를 나란히 맞대어 용접
  • 특징: 변형 방지용 보강 플레이트 부착 시 사용

🧩 용접 각부 명칭 정리


✅ 핵심 명칭 및 설명

명칭설명
루트(Root) 모재가 만나는 가장 깊은 부분, 용입의 시작점
이음선(Joint Line) 두 재료가 결합되는 선
얼굴비드(Face Bead) 외부에서 보이는 비드 표면
루트비드(Root Bead) 첫 번째 패스, 루트 부위의 비드
덮음비드(Cover Bead) 최종 표면을 덮는 비드
패스(Pass) 한 번의 비드 시공 과정
다층 다패스 용접 여러 층에 걸쳐 반복 용접 → 열집중 완화, 강도↑
 

💡 시험 자주 출제 포인트

  • "두 부재가 T자 형상으로 교차" → T이음
  • "비드 중 가장 깊은 용입 위치" → 루트
  • "최종 비드 표면" → 덮음비드(Cover Bead)
  • "이음선을 따라 한 번 시공" → 패스(Pass)

📘 다음 글 예고

25편에서는 용접의 잔류응력과 변형의 발생 원인 및 대응 방법을 정리합니다.
비대칭 냉각, 수축력 차이, 응력 집중에 의한 문제를 어떻게 진단하고 제어하는지를 실기와 연결해 설명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