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접기사 오답노트] 2025 대비 – 용접 변형과 제어 방법 정리 (19편)

용접/용접기사

by 희흔용이네 2025. 6. 27. 13:04

본문

반응형

🧠 이런 분들에게 이 글을 추천해요

  • 실기시험에서 “변형 방지 대책” 서술이 막막한 분
  • 실제 작업할 때 제품이 휘는 이유가 궁금했던 분
  •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용접 후 뒤틀림, 처짐, 수축 문제를 정리하고 싶은 분

🔍 대표 변형 유형 3가지 + 발생 원인


❶ 수축변형 (Shrinkage)

  • 설명: 용접 후 용융금속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며 모재를 끌어당김
  • 원인: 용접 열에 의한 국부적 팽창 → 급속 냉각 시 수축력 발생
  • 결과: 비드 방향으로 모재가 휘어지거나 축소됨

❷ 뒤틀림 (Distortion)

  • 설명: 좌우·상하·양단의 수축 불균형으로 인한 변형
  • 원인: 비대칭 용접, 일방향 진행 용접, 다층 비균형 용접
  • 결과: 모재가 비틀어지며 조립 불가 상태 발생

❸ 처짐 (Sagging)

  • 설명: 고온 용융금속 무게 또는 수평부재의 중력 작용에 의한 처짐
  • 원인: 장스팬 부재, 위치부 용접(OH 등), 과도한 전류
  • 결과: 비드가 늘어지며 형상 불량

🛠️ 실전에서 적용하는 제어 기술


🔧 1. 시공적 대응

제어법설명
백스킵법 비드 진행 방향을 교차시켜 열집중 분산
교호용접법 양측을 번갈아 용접하여 비대칭 방지
단속용접 간격을 두고 비드를 나누어 시공, 열입력 분산
맞대기/겹치기 조립 시 클램프 고정 미리 고정 후 용접하여 변형 최소화
 

🌡 2. 열적 대응

방법효과
예열 냉각 속도 완화 → 잔류응력 감소
후열 용접 후 저온 유지 → 수소 제거 + 응력 완화
PWHT 후열처리(Stress Relief Annealing) → 변형 방지 + 연성 회복
 

🔩 3. 기계적 대응

제어 방법특징
피닝(Peening) 용접 직후 표면 타격 → 잔류 인장응력을 압축응력으로 전환
기계가공 후 정정 변형 발생 후 최종 형상 맞추기 (비용↑)
대칭 용접 구조적 균형 유지로 사전 예방 가능
 

✍️ 실기시험 대비 포인트

  • 문제에서 “장변 부재, 길이 긴 부재” → 수축 + 처짐 우려
  • “편측 용접, 고온 위치” → 뒤틀림 유발
  • “대책을 서술하라” → 시공법 + 열처리 + 피닝 등 복합적 접근 필요

📘 다음 글 예고

20편에서는 **용접검사 기록 문서(MTC, WPS, PQR, WPQ, RT Report 등)**를 정리합니다.
실기 시험에서도 서술형 문제로 자주 등장하는 각종 문서의 목적과 포함 내용을 정리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