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접기사 오답노트] 2025 대비 – 스테인리스강 용접관리 요령 (21편)

용접/용접기사

by 희흔용이네 2025. 7. 1. 09:05

본문

반응형

🧠 이런 분들에게 이 글을 추천해요

  • “스텐은 녹슬지 않는데 왜 변색이 생기지?” 의문이 든 분
  • 시험에서 열변색, 산세처리, 피클링 등의 용어를 자주 틀리는 분
  • 실무에서 SUS 용접 후 품질기준 불합격을 경험한 분

🔍 스테인리스강 용접 시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


❶ 열변색 (Heat Tint)

  • 설명: 고온에서 용접 시 산소와 반응하여 표면에 색 변화 발생
  • 원인: Cr이 산화되며 보호 산화막이 손상됨 → 내식성 저하
  • 방지 대책:
    • 불활성 가스(Argon) 뒷면 보호(Back Shielding)
    • 용접 속도 조절 / 냉각 관리
    • 산세(Pickling) 또는 전해 연마 후처리

❷ 크롬 손실 (Cr Depletion)

  • 설명: 용접 열 영향부(HAZ)에서 Cr이 탄화물과 결합 → 내식성 저하
  • 영향: 입계 부식 발생 가능성↑
  • 방지 대책:
    • 저탄소강 사용 (SUS304L, 316L 등)
    • 솔루션 처리(1,050℃ 이상 가열 후 급랭)
    • 열 입력 최소화 / 빠른 냉각 유도

❸ 스케일(산화피막) 및 흑피 제거

  • 설명: 고온에서 형성된 검은 산화막(흑피)은 내식성 저하 유발
  • 제거 방법:
    • 피클링(Pickling): 산세액(혼합산)에 담가 화학적으로 제거
    • 전해연마(Electro Polishing):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표면 정리

🛠️ 시험 포인트 요약

시험 표현 키워드실제 의미/대응 방식
“열변색 방지” 뒷면 아르곤 가스 보호 / 산세 처리
“Cr 손실 방지” 저탄소강 사용 / 급랭 / 열입력 최소화
“산화막 제거 방법” 피클링 / 전해 연마
“입계부식 방지” L계열 사용(SUS304L 등) / 솔루션 처리
 

✍️ 실기시험 대비 팁

  • “내식성 저하 원인” → Cr 손실, 열변색
  • “표면 색 변화” → 산화막, 스케일 = 피클링 대상
  • “L계열 사용 이유” → 저탄소강으로 CrC 형성 억제

📘 다음 글 예고

22편에서는 알루미늄과 구리 용접 시 특성 및 주의사항을 다룹니다.
비철금속의 용접특성, 피복전극 선택, 예열 온도, 열전도도 등
자주 헷갈리는 재질별 대응법을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