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상화폐 뉴스] 국내 4대 거래소에서 상장폐지 중에 안전한 암호화폐 15종 소개.

2021년 6월 23일 기준 비트코인 시세 ( 한국시간 11:30 작성 마감 기준 )

1. 한국시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6월 22일 22:50분경 비트코인은 28.9k까지 뚫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때 필자는 30k , 29k 분할매수를 걸어두었다.)

2. 한국시간 기준으로 6월 23일 03:40분까지 매수량이 증가하면서 33.2k선까지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다시 32k선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3. 한국시간 09:20분경 급격히 매수가 증가하여 10:05분까지 BTC는 31.8k선에서 34k선까지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필자는 33k선에서 모두 매도했습니다.)

4. 현재 비트코인의 하락세는 매우 급격하게 떨어지고 회복은 천천히 오르다 급격히 오르는 구간도 있기 때문에 항상 내가 목표 세운 금액에 도달하면 매수하고, 목표했던 만큼 오르면 매도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주요 코인 뉴스 정리 (가상화폐, 암호화폐의 전망)

국내 4대 거래소 무더기 상폐 중 가장 안전한 18종 소개.
국내 대표 4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에 상장된 알트코인 수가 총 328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 조사되었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현재 4대 거래소 공동 상장 알트코인에 대한 쟁글(Xangle) 신용도 평가를 볼 수 있다.

코인마켓캡 자료와 쟁글 신용도평가 참고 작성자료


위 신용도 평가는 코인마켓캡 자료와 쟁글 신용도 평가 기준으로
요약 작성하였다.

여타 다른 사이트들의 내용과 약간의 금액 차이는 있을수는 있지만 대부분 유통 공급량과 총액에서 5% 이상 차이 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 작성된 18개의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의 파생 가상자산인 라이트코인, 비트코인SV,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캐시 에이비씨에 대한 4종과 이더리움, 그리고 이더리움의 파생 가상자산인 이더리움 클래식, 이오스, 테조스, 스텔라루멘, 에이다, 오미세고, 질리카, 트론, 폴카닷, 베이직어텐션토큰, 리플, 체인링크, 퀸텀으로 작성되었다.

가상자산 공시 정보 사이트인 쟁글의 신용도 평가와 암호화폐 거래소의 정보 탑으로 꼽는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4대 거래소에 모두 상장된 알트코인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은 단연코 이더리움이다.

쟁글의 가상자산 신용도 평가에서는 여러 가지 항목을 다룬다. 재무건전성, 팀역량팀 역량, IR 공시활동공시 활동,토큰 지배구조, 경영성과, 외부감사 등으로 나눠서 평가 등급을 부여한다.

이더리움은 이미 비트코인을 뒤쫓는 가상자산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며 쟁글 신용도 평가에서 AA 등급을 받았다. (비트코인은 AA+등급으로 한 단계 위)

18종의 알트코인 중 이오스는 이더리움 킬러로 꼽히는 3세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상자산이다. 이오스는 쟁글 신용도 평가에서 AA- 등급을 받았다.

테조스는 ‘온체인 거버넌스기술을 적용한 가상자산으로 속도와 보안성 측면에서 기존 가상자산 대비 강점이 있다. 테조스는 쟁글 신용도 평가에서 AA- 등급을 받았다.

이외에 4대 거래소에 공동 상장된 알트코인 중 쟁글 신용도 평가 결과 A+ 등급에이다, 폴카닷, 비트코인캐시, 스텔라루멘, 트론, 질리카, 오미세고 으로 총 7종으로 평가되었다. 이 중 점수가 공개된 질리카는 외부 감사 점수에서 만점으로 책정되었다.

A등급리플, 라이트코인, 베이직어텐션토큰 으로 총 3종이다.

A- 등급체인링크와 퀀텀으로 총 2종이다.

이외에 4대 거래소에 상장된 비트코인SV, 비트코인캐시 ABC, 이더리움 클래식의 가상자산은 쟁글 신용평가 등급이 공개되지 않았다.


오늘 뉴스에 대한 간단한 개인 리뷰.

오늘은 비트코인의 급격한 하락세와 급등세에 내가 생각한 내용과 쟁점에 대해 잊지 않고 싶어서 일찍 글을 적었다. 먼저 나는 오늘 뉴스에 대해 찾아본 이유는 마음을 다시 다짐하기 위해서였다. 한국시간 기준 5월 7일 이후 하락세와 상승세를 반복하였지만 결론적으로는 60k(당시 김프가 붙어서 국내에선 7,800만원까지 감)도 찍었던 비트코인이 현재는 29k(빗썸기준 3,400만원)까지 떨어지는 급격한 공포 구간에 들어왔다. 이때 내가 기록했었던 30k에서 조금 주워 담았고 그것을 버티기 위해 오늘 뉴스를 미리 확인하고 작성하였다. 오늘 작성한 15종에 대한 코인 이외에 자기가 현재 들고 있다면 나는 지금 과감히 그 코인들을 정리하라고 조언하고 싶다. 이러한 매서운 하락장에서는 알트코인들의 회복력은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에 다시 한번 더 자기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돌아보고 그 코인에 대해 공부를 해보길 바란다.오늘 꼭 하고 싶은 말은 "신용등급이 없는 잡코인은 빨리 처리할 것"이다. (앞 내용 기사들 보시면 현재 업비트에서 무더기 상폐하는 것처럼, 곧 정부가 개입하면 더 수많은 잡코인들이 쓰러질 예정이니 오늘 기사와 이전 기사 꼭 참고하세요.) 


코인 기사 정리


1. 전 리플 CTO 제드 맥칼렙, XRP 현금화.
-> 전 리플 CTO 제드 맥칼렙이 지난 19일 동안 2.145억 가량의 XRP를 현금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타 미디어 측에서는 "제드 맥칼렙은 XRP 지갑에서 대량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를 이체했고, 매도를 하기 앞서 리플사로부터 4.8억 가량 XRP를 이체받았다"라고 설명했다.

2. 미국, "암호화폐 규제 과도는 안돼"
-> 폭스 비즈니스에 따르면, 미국 상원의원인 신시아 루미스가 최근 의회에서 암호화폐 규제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규제는 상당히 명료할 것이며, 이해하기 쉽고 동시에 지나치게 과도하지 않을 것이다." 라며 설명하고 "우리는 이 분야의 혁신을 희망한다"라고 전했다.

3. 마이클 소넨샤인 "네가 울 때, 나는 산다"
-> 그레이스케일 최고경영자(CEO) 마이클 소넨샤인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you're crying. I'm buying."이라고 말했다. 즉, 현재 하락세에서 "당신들이 울고 (비트코인)팔때, 나는 (비트코인)을 산다."라고 유추된다.

4. 지속되는 중국 채굴 단속 강화, 비트코인 30k선 붕괴.
-> 최근 중국의 지속적인 가상화폐 단속을 강화하면서 사실상 중국 채굴업자들의 대량 비트코인을 던지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30k선이 붕괴된 건 올해 1월 말 이후 약 5개월 만에 처음이며 한동안은 이러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예상하고 있다.

5. 국내 4대 거래소 유의 종목 상단수가 단독 상장으로 밝혀져..
-> 국내 4대 거래소에 상장된 알트코인 가운데 다른 3개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가상자산이 최대 100여 개를 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