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뉴스] 한은(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3파전 압축
2021년 07월 13일 기준 비트코인 시세 ( 한국시간 14:00 작성 마감 기준 )
1. 7월 13일 비트코인은 34k선에서 하루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내 횡보를 유지하지 못하고 01:05분경 매도량이 증가하면서 33.2k선까지 내려갔다.
2. 33.2k선을 횡보하던 비트코인은 03:55분경 32.9k선이 뚫리는가 싶더니 이내 매수량이 증가하면서 빠른 회복력으로 10분 만에 33.3k선을 돌파하는 회복력을 보여주더니... 그 힘을 연이어 가지 못하고 엄청난 하락 빔을 맞으며 32.7k까지 떨어졌다.
3. 32.7k까지 떨어진 비트코인은 다시 천천히 매수세를 타고 회복하여 33.3k선까지 가는 모을 보여줬지만 아직도 그 힘을 받지 못하고 33k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비트코인아...다들 33k선을 조금 지겨워하고 있단다 ㅠㅠ 뭔가 튀는 모습을 보여다오...)
주요 코인 뉴스 정리 (가상화폐, 암호화폐의 전망)
한은(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3파전 압축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CBDC(디지털 화폐) 모의실험 연구사업이 1.네이버 계열인 라인플러스 2.카카오 계열인 그라운드X 3.SK 계열인 SK C&C로 7월 12일 입찰서를 마감하면서 '3파전'으로 압축됐었습니다.
오늘 소개드릴 뉴스에 대해 바쁘신 분들을 위해 3개로 요약하자면,
1.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CBDC(디지털화폐) 모의실험 입찰서가 12일에 마감됨.
2. 입찰한 업체는 네이버/카카오/SK 로 3파전이 될 것임.
3. CBDC 모의실험은 2단계(총3단계)로 진행될 예정이며 모의실험은 다음 달 진행하며 사업기간은 10개월임.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CBDC(디지털화폐) 모의실험 연구사업이 1.네이버 계열인 라인플러스 2.카카오 계열인 그라운드X 3.SK 계열인 SK C&C로 7월 12일 입찰서를 마감하면서 '3파전'으로 압축됐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입찰 참여 업체가 제출한 입찰 관련 서류에 대해 이번달 중 기술평가, 협상적격자와의 기술협상 등을 거쳐 사업자를 선정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CBDC(디지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전자적 형태의 화폐로, 한국은행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CBDC 모의실험을 총 3단계에 걸쳐서 진행될 것입니다.
1단계는 분산원장 기반의 CBDC 모의실험 환경 조성과 기본 기능(발행 / 유통 / 환수)에 대한 기술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2단계는 중앙은행 업무 확장, 오프라인 결제 기능, 디지털 자산 구매 등 CBDC 확장 기능 /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 등 신기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예정이며, 3단계는 1,2단계를 걸친 내용을 모의시행 및 기술의 보급성 / 안전성 / 보완점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결론적으로 CBDC의 제조, 발행, 유통, 환수, 폐기 등 일련의 업무처리 시스템 구현을 물론, 국가 간 CBDC 전송을 포함한 송금 기능과 대금 결제 기능 테스트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사업기간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총 10개월이며, 사업 예산은 총 49억6천만원이 배정되었습니다.
한은은 이 달 중 이들 업체에 대한 기술 능력 평가와 입찰 가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며 선정된 사업자는 다음 달부터 바로 시스템 구현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3개 업체는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IT, 핀테크, 블록체인 분야 업체들과 협력체를 구성해 제안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사업은 컨소시엄 구성을 허가하지 않아, 주사업자 아래 하도급 업체로 이름을 올리는 방식으로 협력체를 구성했다.
그리고 주사업자로 참여할 지 여부를 두고 삼성 SDS와 LG CNS는 라인플러스와 그라운드X에 손을 잡은 것으로 추정되며 구체적으로는 어느 기업와 협력적인 관계를 맺었는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삼성 SDS와 LG CNS는 한국은행이 수행한 CBDC 컨설팅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며, 당시 컨설팅 사업을 주관한 EY한영 협력사로서 어느 기업과 손잡을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IT서비스 중 유일하게 주사업자로 응찰한 SK C&C는 제로페이의 자문기관을 확보하고 타 시중은행 등과 연합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늘 뉴스에 대한 간단한 개인 리뷰.
한은(한국은행)이 진행하는 CBDC를 계기로 대한민국도 드디어 암호화폐에 역사적인 발걸음을 내딛는다. 이것은 단순한 사업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이 모의실험을 통해서 암호화폐의 문제점과 그것에 대하여 대안점과 보완점 등을 찾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모의실험들은 항상 생기는 문제점에 대해서 대안이나 보완을 찾는데 만약 그에 대한 대안이나 보완이 없을 경우, 규제를 만든다. 이러한 규제들이 만들면서 디지털 화폐가 자리를 잡게 될 것이며 천천히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KSP와 KLAY 보유자로써 그라운드X가 되길 바란다. 이러한 뉴스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분명 안전자산으로는 3사(네이버/카카오/SK) 중 자신이 믿는 회사의 주식을 사신다면 단기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필자는 카카오 신앙자로서, 그라운드X님이 한번 일을 크게 벌려주길 바란다. 그리고 이것을 기초 삼아 타국가에 비해 지능으로 매우 높은 대한민국에서 이러한 모의실험과 각종 이벤트를 실험하여 암호화 시장에서 큰 이득을 먼저 들고 가는 것이 좋은 미래라고 생각된다.
코인 기사 정리
1. 한은(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3파전 압축
->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중앙은행 CBDC(디지털화폐) 모의실험 연구사업이 네이버 / 카카오 / SK '3파전'으로 압축되었습니다.
2. 그레이스케일, BCHG·ETCG·LTCN 등 펀드 'Form 10' 제출
-> 그레이스케일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BCHG, ETCG, LTCN 등 펀드의 출시를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Form 10을 제출했다"라고 밝혔습니다.
3. 미국 온라인 쇼핑몰 웰봇에서 암호화폐 결제 지원
-> 미국 스마트 제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 웰봇(Wellbots)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6종의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웰봇이 지원하는 암호화폐 결제 수단은 BTC, ETH, BCH, DAI, LTC, USDC 입니다.
4. 글래스노드 조사평가, "채굴자들 BTC 매도 대신 축적하고 있다"
-> 트러스트노드는 글래스노드의 데이터를 인용하여 6월 상당기간 동안 BTC를 매도한 채굴자들이 이제는 축적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지금 채굴자들은 청산 대신 축적을 선택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채굴장 폐쇄 조치에 따라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가 약 50% 감소했다."라고 전했습니다.
5. 카카오,넥슨만 암호화폐 보유했다, 공시 논란
-> 중앙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공시대상 기업집단(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자산총액 5조원 이상 기업집단) 71개 중 사업보고서 등에 암호화폐 보유를 공시한 곳은 카카오와 넥슨 두 곳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상화폐 > 가상화폐 분석_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뉴스] 부산광역시, 2022년에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한다. (2) | 2021.07.15 |
---|---|
[가상화폐 뉴스] 비트코인 ETF를 위해 Grayscale과 거물은행(BNY Mellon)이 손잡다. (5) | 2021.07.14 |
[가상화폐 뉴스] 엘살바도르에 이은 파라과이, 비트코인 법정화폐 합법화 추진 (2) | 2021.07.12 |
[가상화폐 뉴스] Bank of America, 암호화폐 전담 시장조사팀 신설 (4) | 2021.07.09 |
[가상화폐 뉴스] Visa와 BlockFi 손잡고, Crypto 카드 출시. (2)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