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뉴스] 인스타그램(Instagram)의 NFT 구현 / 코인베이스, 암호화폐로 인도 신규직원 채용
2021년 07월 06일 기준 비트코인 시세 ( 한국시간 16:00 작성 마감 기준 )
1. 한국시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7월 5일 33.6k선을 지지하며 횡보하고 있었다. 그러다 7월 6일 새벽 02:10분부터 매도 물량이 증가하면서 33.2k까지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내 다시 급격히 매수량이 증가하면서 34k선까지 안정선을 올라탔다.
2. 7월 6일 새벽부터 아침까지 34k 선에서 상승세와 하락세를 반복하며 지지하던 중, 오후 13:00분경 매수 물량이 증가하면서 단, 10분 만에 33.9k에서 34.6k까지 상승하였다.
3. 7월 6일 현재시각 15:50분 34.7k선에서 계속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 비트코인은 33.2k선을 터치하고 34.7k까지 회복하는 약 4%의 반등세를 보여주며 횡보하고 있다.
(필자의 관점에서는 33~36k까지는 계속 반복 될 것 같다. 31k선에서 대기하면서 관망 중이다.)
주요 코인 뉴스 정리 (가상화폐, 암호화폐의 전망)
인스타그램(Instagram) 프로필에 NFT 수집품을 구현 작업 진행 중.
모바일 개발자인 Alessandro Paluzzi에 따르면 인스타그램(Instagram)은 앱에 NFT기능을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Paluzzi는 "인스타그램은 다가오는 미래에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에 자체 형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라고 밝혔고, 트위터에서 발견한 내용에 대해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에 대한 잠재적인 업데이트를 보여주었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현재 제품에 대한 대규모 업데이트를 구현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스타그램(Instagram)은 아직 플랫폼에서 NFT 제품 출시를 공개적으로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잠재적으로 플랫폼에 지불 기능을 추가하는 것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의 수장인 Adam Mosseri는 6월 초 인스타그램의 Creator Week에서 회사가 수익화 도구로 제작자를 도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브랜드 콘텐츠를 지원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내의 상거래는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제휴 마케팅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고 상품으로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제로 제작자에게 직접 지불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구독, 뱃지, 팁 등 다른 사용자 결제형 제품 등 어떤 것이든 상관 없습니다." 라고 인터뷰 하였습니다.
인스타그램은 제작자의 독점 팬에게 유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Patreon 및 Only Fans의 결제방법과 유사합니다. 인스타그램에서 결제 수단과 수익화 도구를 구현하는 기능은 플랫폼에서 NFT 판매를 쉽게 허용할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인스타그램이 NFT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을 Paluzzi는 자신의 트윗을 통해 “인스타그램은 수집품 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온-보딩 화면이 있습니다.”라고 밝혔으며, 개발자의 조사에 따르면 NFT를 제공하는 인스타그램 게시물에는 "수집 가능(Collectible)" 레이블이 생겼습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게시물에 구매 가능한 NFT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NFT 기능이 발현된 인스타그램 게시물에는 'Collectible'이라는 라벨이 붙게 될 것이며, 사용자 포스트에 구매 가능한 NFT가 있다는 것을 표시해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NFT란? NFT(Non-fungible Token·대체 불가능 토큰)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가상자산.
코인베이스, 1000달러의 암호화폐로 인도 신규직원 채용
코인베이스는 인도의 새로운 허브에 "수백 명"의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며 1,000달러의 암호화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의 목표는 신입사원들이 인센티브를 이용하여 암호화에 대해 배우는 것입니다.
코인베이스는 Google Pay의 Panka Gupta를 향후 인도 개발 센터를 이끌도록 임명했습니다. 인도의 엔지니어링 및 사이트 책임자인 Panka Gupta는 금요일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이 서비스를 활용하여 암호화폐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Panka Gupta는 블로그에 '기술자, 기술 건설자, 기업가들로 구성된 이 나라의 "세계 최고 수준의 커뮤니티"를 공략할 것'이라고 썼습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해 3월 인도 하이데라바드에 암호화폐 금지 지역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다. 비록 최근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인도 정부에 의해 전면 금지가 입법에 통과되더라도 코인베이스의 계획은 엔지니어링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심으로 운영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 뉴스에 대한 간단한 개인 리뷰.
"인스타그램의 NFT 수집품 구현이 진행되고 있다." 이 말을 들었을 때, 드디어 올 것이 왔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필자는 NFT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 없다. 불타는 집을 보고 웃는 아이의 사진이 뭐 몇 억에 팔렸니, 어떤 연예인의 NFT가 가치가 얼마니... 사실 잘 공부도 안 하고 크게 관심도 끌리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 저 말을 들었을 때 올 것이 왔다고 느낀 것은 즉 이러한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내용이 조금씩 조금씩 전 세계를 덮고 있고 누구나 알게 된다는 사실이라는 것이다.
인스타그램만 과연 진행하고 있을까? 아니다. 이미 몇 번이나 암호화 시장에 긍정적인 관점을 보여준 세계적인 SNS 트위터, 그리고 암호화 시장을 조용히 은밀히 염탐하면서 코인 코드/NFT 등 시장을 확인하고 있는 세계적인 SNS 일인자 페이스북도 이미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많은 추측들이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SNS에 퍼질 때는 정말 급속도로 이 시장에 대해 퍼질 것이며 나아가, 아직도 몰랐던 사람들은 흥미를 끌게 될 것이고 천천히 유입되는 시장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사실 NFT 공부도 심도 있게 해야 하는데...ㅠㅠ 얼른 빨리 공부해서 조금 더 지식을 쌓도록 해야겠다.)
코인 기사 정리
1. 인스타그램(Instagram) 프로필에 NFT 수집품을 구현 작업 진행 중.
-> 모바일 앱 개발자 Alessandro Paluzzi의 트위터에 따르면, "SNS 플랫폼 트위터와 인스타그램이 대체 불가 토큰(NFT) 관련 기능이 담긴 업데이트를 구현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2. 코인베이스, 1,000달러의 암호화폐로 인도 채용
-> 코인베이스는 인도의 새로운 허브에 "수백 명"의 직원을 채용할 계획이며 1,000달러의 암호화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영국 바클레이 은행, 바이낸스 결제 차단
-> 코인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대형 은행 바클레이가 바이낸스에 대한 모든 카드 결제를 차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바이낸스 대변인은 "바클레이 은행은 영국 금융당국(FCA)의 지침을 부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 같다"라고 말했다.
4. 카르다노 재단 CEO "2026년, 포춘 500대 기업 중 10곳 ADA 보유 전망"
-> 유투데이에 따르면 카르다노(ADA, 에이다) 재단 CEO인 프레데릭 그레가드가 "2026년에는 500대 기업 중 10곳이 ADA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 마이닝풀(채굴자) CEO 수익 35% 증가 예상.
-> 비트코인 채굴 업체 CEO 중 1명인 위트깁스는 CNBC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암호화폐 채굴업을 제한하면서 비트코인 채굴 수익이 단기간 상승할 것"이라며 "채굴자들은 기존보다 35% 많은 수익을 거둘 것"이라고 관측했다.
'가상화폐 > 가상화폐 분석_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뉴스] Visa와 BlockFi 손잡고, Crypto 카드 출시. (2) | 2021.07.08 |
---|---|
[가상화폐 뉴스] "가상자산 과세 2023년 1월까지 추가 유예" 법안 발의 (1) | 2021.07.07 |
[가상화폐 뉴스] 그레이스케일(Grayscale), 대형주 펀드에 카르다노 투입 / 비트 코인, 고래 지갑들의 이동과 향후 움직임 예상 (0) | 2021.07.05 |
[가상화폐 뉴스] SoftBank, 브라질 암호 화폐 거래소 'Mercado Bitcoin'에 2 억 달러 투자 / 안구인식 암호화폐 결제 스타트 업 (0) | 2021.07.02 |
[가상화폐 뉴스] 국내 4대 거래소, 가상화폐 자금세탁 방지 / Coinbase, 고수익 USDC 제품 출시 (0) | 2021.07.01 |